티스토리 뷰

어제 영화 <올빼미>를 봤는데, 역사적 배경과 소설적인 내용을 추가하여 제작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인조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영화평점도 높아서 기대하고 본 작품입니다. 이 영화의 소개, 줄거리 그리고 감상평을 알아보겠습니다.

 

영화 <올빼미> 소개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과 상상력으로 만들어졌다. 청에게 인질로 잡힌 지 8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소현세자와 아버지 인조의 이야기를 담았다. 인조 23년 6월 27일이라는 구절과 시각장애인이 진실을 본 것 같은 상상력이 더해져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이 영화의 감독은 안태진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라 솔직히 예상하지 못했다. 하지만 영화가 시작되면서 118분 동안 연출력과 배우들의 연기력이 빚어내는 긴장감이 작품을 화려하게 만들었다. 먼저 등장인물들의 관계가 잘 맞아떨어졌다. 아버지 인조와 아들 소현세자, 눈이 멀었지만 침 잘 흘리는 경수, 어의 이형익, 영의정 최대감, 후궁 유용조의 관계를 그렸다. 이러한 긴장감은 후반부 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하룻밤의 이야기로 더욱 고조되었다. 밤 사이 휘몰아치는 속도감이 매력적이며 몰입도가 엄청나게 높아졌다. 여기에 촬영, 조명, 미술, 의상, CG 제작진이 함께 작품의 수준을 높였다. 이들은 사도, 관면, 안시성, 남한산성 등 사극의 고경력을 살려 영상미와 음향 교통으로 몰입도를 높였다. 그리고 배우들의 존재감이 필수 불가결하다. 다양한 역할로 재미를 전하는 유해진이 처음으로 왕을 연기했다. 광기의 감정 연기는 최고였다. 그리고 류준열이 세자의 죽음을 목격한 경수 역을 맡았다. 침술과 시각장애인으로서 긴장감을 연기하는 데 성공했다. 다른 많은 조연들도 좋은 연기를 펼쳤다.

줄거리

조선은 병자호란으로 남한산성에서 청나라 군대 앞에 항복을 선언한다. 삼전에서 왕은 청태종에게 3배구 머리를 하사받았다. 삼결고두는 무릎을 꿇고 이마를 땅에 부딪히는 의식으로, 청나라 황제는 조선의 세자였던 소현세자와 그의 동생을 볼모로 청에게 끌고 갔다. 8년 만에 소현세자는 관청의 문물을 받아 들고 관청의 존호를 받기 시작했는데, 인조는 청의 총애를 받았다는 소식에 더욱 불안해졌다. 이에 인조의 권력에 대한 집착은 더욱 강해지고 병세는 심해져서 관와사까지 오게 되었다. 마침내 인질생활을 청산하고 조선에 온 아들 소현세자는 달갑지 않았다. 한편 경수는 보이지 않는 의용이자 침술가이다. 재주가 워낙 뛰어나 물고기 이형익에게 잡히고 궁궐에 들어갈 정도였다. 경수에게는 비밀이 있다. 낮에는 볼 수 없지만 밤에는 볼 수 있지만 비밀을 숨겨야 한다. 소현세자는 이 딱딱한 물이 밤에도 보인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다행히 세자는 선량하고 성품이 좋은 사람이라 오히로 청에서 가져온 돋보기까지 선물한다. 어느 날 밤 경수는 피로 죽은 소현세자가 어둠 속 구멍에서 피를 뿜어내는 것을 보고, 물고기 이형익이 자신을 치료하는 척하다가 독침으로 자신을 독살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세자의 부인 강빈은 이 사실을 알리게 되지만, 알고 보니 이형익이 세자를 죽이게 한 것은 인조였다. 이 과정에서 소현세자의 가족들은 모두 죽고, 경수는 참수 직전이지만 기적적으로 살아남는다. 4년 후 인조가 쓰러졌다는 소식을 듣고 궁궐을 찾은 경수는 결국 자신이 죽었다는 말로 끝을 맺는다

감상평

이 영화에서는 선진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청나라에서 8년을 보낸 세자, 반대로 청나라를 거부하는 인조의 대립구도다. 어두운 곳에서 어느 정도 시력을 보이는 침술의의 모습이 보여 긴장감과 몰입감을 주는 전개가 좋았고, 상황을 묘사한 공간예술이 눈에 띄었다. 침략국이지만 선진 기술과 문화를 도입하려는 세자, 청나라로부터 치욕적인 예속과 트라우마 스트레스를 받은 인공 비문의 경향이 색과 소리로 나뉘었는데, 출연자들의 연기는 정말 감탄을 자아냈습니다. 특히 인상이 좋은 단어 이형익이 경수의 옆에서 세자를 독살하고, 그 욕망이 내면의 표정과 함께 나오는 장면은 섬뜩합니다. 경수 역시 자연스럽게 생존본능과 진실을 소화했습니다. 사후 음모를 밝히는 과정에서 왕과 신하, 물고기의 반전이 좋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과했습니다. 탄탄한 전개와 권력을 향한 비정함의 반전을 통해 흥미와 재미로 몰입감을 유지하는 장면은 현실적으로 설득력이 없었습니다.